로마어로는 유피테르, 영어로 주피터. 게르만 신화의 티와즈, 북유럽 신화의 티르, 라틴어로 신을 가리키는 보통명사 deus, 범어에서 신들의 한 무리를 가리키는 deva(데바) 등은 언어학적으로 원시인구어(Proto Indo-European language)에서 신을 가리키던 dhyeus에서 갈라진 것으로 보인다.
티탄족인 크로노스와 레아의 막내아들로 포세이돈과 하데스의 남동생. 부인은 자매인 헤라지만, 레토와 누이인 데메테르 등 여신은 물론이고 님프, 인간과도 교제해서 자녀를 많이 낳았다.
제우스는 이집트 신화의 최고신 아문과 동일시된다. 이집트 서부 사막의 오아시스에 있는 아문 신전에는 페르세우스, 헤라클레스가 방문해 신탁을 들었다고 한다.
동방 원정 때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도 아문 신전을 방문해서 아문의 아들이라는 신탁을 받았다. 그것은 제우스의 아들이라는 것을 상징해서 알렉산더 대왕은 자신의 신성을 증명하고 만족했다.
동방 원정 때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도 아문 신전을 방문해서 아문의 아들이라는 신탁을 받았다. 그것은 제우스의 아들이라는 것을 상징해서 알렉산더 대왕은 자신의 신성을 증명하고 만족했다.
제우스의 연인들
제우스의 연인은 무수히 많았지만 유명한 이들만 소개한다.
1. 메티스(Metis)
제우스의 첫번째 아내. 지혜의 여신. 오케아니데스(Oceanids, 그리스어: Ὠκεανίς , 단수형 : Ὠκεανίδαι)며, 티탄이지만 티타노 마키아에서는 제우스 편에서 싸웠다. 가이아는 "제우스와 메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남신은 아버지를 능가"할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 이것을 두려워한 제우스는 임신한 메티스를 삼켰다. "어떤 것이든 변신 할 수 있다면 물로 변신해 봐라"는 제우스의 도발에 메티스가 물로 변하자 마셔버렸다는 말도 있다. 메티스는 제우스 안에서 태어날 아이를 위해 갑옷을 만든다. 제우스는 메티스를 삼켜서 지혜까지도 갖게 됐다.
제우스는 두통을 느끼고 헤파이스토스에게 머리를 조금 갈라보게 한다. 그러자 무장한 여신이 함성을 지르며 제우스의 머리에서 튀어나왔다. 이 여신이 아테나다.
제우스는 두통을 느끼고 헤파이스토스에게 머리를 조금 갈라보게 한다. 그러자 무장한 여신이 함성을 지르며 제우스의 머리에서 튀어나왔다. 이 여신이 아테나다.
2. 테미스(Themis) & 헤라(Hera)
제우스의 2번째 여자는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딸이자 법의 여신인 테미스다. 하지만 테미스와 결혼하고서도 결혼과 가정을 수호하는 질투의 여신 헤라에게 반해 구애했지만 헤라는 맹렬하게 저항했다. 제우스는 다친 새로 변신해서 헤라를 범하려고 했지만 소용 없었다. 헤라는 교제 조건으로 결혼을 제시해서, 제우스는 테미스와 이혼하고 헤라와 결혼한다.
3. 이오(Io)
제우스는 강의 신 이나코스와 멜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자, 아르고스를 건설한 포로네우스의 자매 이오에게 구름으로 변신해서 접근한다. 제우스는 이오를 암소로 바꾸어 헤라의 눈을 속이고자 했지만 헤라는 제우스에게 암소를 받고 백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가 감시하게 했다.
아르고스는 자고 있을 때도 50개의 눈을 뜨고 있어서 사각이 없었다. 헤르메스는 제우스의 명령으로 풀피리로 아르고스를 재워 모든 눈을 감게 해서, 그 목을 칼로 잘랐다. 헤라는 아르고스를 불쌍하게 여겨 공작으로 환생시키고, 이 공작은 헤라의 상징이 된다.
헤라는 이오에게 등애를 보내고, 이오는 이집트로 가서까지 등애에게 시달린다. 괴로워하는 이오를 보고 안쓰러워하던 제우스는, 헤라에게 용서를 구하고 이오를 원래 모습으로 되돌린다. 이오는 에파포스(Epaphos)를 낳는다.
제우스는 강의 신 이나코스와 멜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자, 아르고스를 건설한 포로네우스의 자매 이오에게 구름으로 변신해서 접근한다. 제우스는 이오를 암소로 바꾸어 헤라의 눈을 속이고자 했지만 헤라는 제우스에게 암소를 받고 백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가 감시하게 했다.
아르고스는 자고 있을 때도 50개의 눈을 뜨고 있어서 사각이 없었다. 헤르메스는 제우스의 명령으로 풀피리로 아르고스를 재워 모든 눈을 감게 해서, 그 목을 칼로 잘랐다. 헤라는 아르고스를 불쌍하게 여겨 공작으로 환생시키고, 이 공작은 헤라의 상징이 된다.
헤라는 이오에게 등애를 보내고, 이오는 이집트로 가서까지 등애에게 시달린다. 괴로워하는 이오를 보고 안쓰러워하던 제우스는, 헤라에게 용서를 구하고 이오를 원래 모습으로 되돌린다. 이오는 에파포스(Epaphos)를 낳는다.
Jupiter and Io(Correggio)
John Hoppner
Juno discovering Jupiter with Io(Pieter Lastman 1583-1633)
Juno and Argus - Peter Paul Rubens.
4. 레다(Leda)
아이토리아 왕 테스티오스의 딸이다. 스파르타 왕인 틴다레오스의 아내였지만, 제우스는 백조로 변신해서 레다에게 접근한다. 레다는 알 2개를 낳았는데 알 하나에서는 절세 미녀가 되는 헬레네와 클리타임네스트라가, 또 하나의 알에서는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가 태어난다. 제우스는 헬레네의 탄생을 기념하고자 하늘에 백조자리를 만든다.
Leon Reisener Leda and the Swan
5. 에우로페(Europe, Europa)
페니키아의 왕 아게노르와 텔레파사의 딸이다. 제우스는 흰 황소로 변신했다. 시녀와 꽃을 따다가 흰 황소를 발견한 에우로피는 흰 황소 위에 탄다. 그 순간 흰 황소는 에우로페를 태우고 그대로 납치했다. 흰 황소가 에우로페와 함께 이동한 지역을 Europa이라고 부르게 됐다. 크레타 섬에 도착한 제우스는 본래 모습을 드러내고 에우로페는 크레타의 왕비가 된다. 그리고 미노스와 라다만티스, 사르페돈이 태어난다. 그 후, 아스테리오스가 세 아들의 의부가 됐다. 제우스는 그녀에게 크레타 섬에 이방인이 상륙하지 못하도록 지키는 청동 인간 탈로스, 반드시 노획물을 잡는 사냥개, 과녁을 빗나가지 않는 창을 선물로 줬다. 그 후 제우스는 다시 하얀 황소로 모습을 바꾸고 밤하늘로 올라가 황소자리가 됐다.
6. 다나에(Danae)
아르고스의 왕 아크리시오스의 딸. 아크리시오스는 외손자에게 죽을 것이라는 신탁을 받고 다나에를 지하에 있는 청동 방에 가두지만, 제우스가 황금 빗물로 변신해서 그녀에게 접근해서 페르세우스가 태어났다. 아크리오스는 다나에와 페르세우스를 상자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그들은 세리포스 섬에 다다라 섬의 왕 폴리데크테스의 동생인 디크티스에게 구조된다. 훗날 경기에서 아크리시오스는 페르세우스가 던진 원반에 맞아 죽는다.
아르고스의 왕 아크리시오스의 딸. 아크리시오스는 외손자에게 죽을 것이라는 신탁을 받고 다나에를 지하에 있는 청동 방에 가두지만, 제우스가 황금 빗물로 변신해서 그녀에게 접근해서 페르세우스가 태어났다. 아크리오스는 다나에와 페르세우스를 상자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그들은 세리포스 섬에 다다라 섬의 왕 폴리데크테스의 동생인 디크티스에게 구조된다. 훗날 경기에서 아크리시오스는 페르세우스가 던진 원반에 맞아 죽는다.
7. 알크메네(Alcmene)
미케네의 왕 엘렉트리온과 아낙소의 딸, 그리고 암피트리온의 아내. 암피트리온이 실수로 엘렉트리온을 죽이고 추방되자 테베로 함께 갔다. 그리고 청혼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타포스인에게 죽은 형제들의 보복을 요청했다. 암피트리온은 테베의 왕 크레온의 지원병과 함께 원정을 떠나는데, 이것은 제우스가 꾸민 일이라고 한다. 기간테스와의 싸움을 위해 알크메네를 통해 영웅을 낳으려 했다는 것이다.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해서 훌륭한 영웅을 낳기 위해 밤의 길이를 3배 늘려 알크메네와 성교한다. 타포스 섬을 정복한 암피트리온은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에게 진상을 듣고 알크메네를 죽이려고 하지만, 제우스가 방해한다. 암피트리온이 미니아와의 싸움에서 죽자 크레타 섬의 라다만티스와 결혼해서, 보이오티아에서 살았다.
미케네의 왕 엘렉트리온과 아낙소의 딸, 그리고 암피트리온의 아내. 암피트리온이 실수로 엘렉트리온을 죽이고 추방되자 테베로 함께 갔다. 그리고 청혼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타포스인에게 죽은 형제들의 보복을 요청했다. 암피트리온은 테베의 왕 크레온의 지원병과 함께 원정을 떠나는데, 이것은 제우스가 꾸민 일이라고 한다. 기간테스와의 싸움을 위해 알크메네를 통해 영웅을 낳으려 했다는 것이다.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해서 훌륭한 영웅을 낳기 위해 밤의 길이를 3배 늘려 알크메네와 성교한다. 타포스 섬을 정복한 암피트리온은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에게 진상을 듣고 알크메네를 죽이려고 하지만, 제우스가 방해한다. 암피트리온이 미니아와의 싸움에서 죽자 크레타 섬의 라다만티스와 결혼해서, 보이오티아에서 살았다.
Zeus visiting Alcmene disguised as Amphitryon
8. 가니메데스(Ganymedes)
제우스는 가니메데스라는 트로이의 미소년도 사랑해 올림포스로 납치해 사환으로 삼았다. 올림포스의 신들의 사환은 원래 청춘의 여신인 헤베의 역할이었다. 제우스의 아들인 영웅 헤라클레스가 죽어 신이 되자, 헤라클레스를 미워했던 헤라도 결국 헤라클레스와 화해하고 그 딸 헤베가 아내로 헤라클레스에 주어졌다. 이 때문에 신들의 연회에 사환이 없어졌다. 제우스는 인간들 중에서도 특히 아름다운 가니메데스를 선택해 독수리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그를 데려와, 올림포스의 사환으로 삼았다.
제우스는 가니메데스라는 트로이의 미소년도 사랑해 올림포스로 납치해 사환으로 삼았다. 올림포스의 신들의 사환은 원래 청춘의 여신인 헤베의 역할이었다. 제우스의 아들인 영웅 헤라클레스가 죽어 신이 되자, 헤라클레스를 미워했던 헤라도 결국 헤라클레스와 화해하고 그 딸 헤베가 아내로 헤라클레스에 주어졌다. 이 때문에 신들의 연회에 사환이 없어졌다. 제우스는 인간들 중에서도 특히 아름다운 가니메데스를 선택해 독수리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그를 데려와, 올림포스의 사환으로 삼았다.
가니메디스는 트로이 왕가의 조상인 트로스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라오메돈 또는 프리아모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인간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소년이었고, 가니메데스에게는 영원한 젊음과 불멸이 주어졌다. 또한 대가로 그 아버지에게는, 헤르메스에게 시켜 신마 2마리와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황금 포도 나무를 줬다.
가니메데스의 라틴식 이름은 ‘카타미투스(Catamitus)’인데, 동성애 상대의 소년을 가리키는 ‘캐터마이트(catamite)’는 여기서 파생된 말이다. 17~18세기의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가니메데스가 동성애의 여성 역할을 하는 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고도 한다. 또 가니메데스는 목성의 위성 이름이기도 한데,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을 가리키는 주피터는 로마신화에서 제우스에 해당하는 유피테르의 영어식 이름이다.
천상에 빛나는 물병자리는 신들에게 넥타르를 서빙하는 가니메데스의 모습이며, 독수리자리는 제우스가 그를 납치할 때 변신한 독수리의 모습이다.
천상에 빛나는 물병자리는 신들에게 넥타르를 서빙하는 가니메데스의 모습이며, 독수리자리는 제우스가 그를 납치할 때 변신한 독수리의 모습이다.
Ganymede Waters Zeus as an Eagle by Bertel Thorvaldsen (Minneapolis Institute of Arts, Minneapolis, MN)
Ganymedes. Gabriel Joseph Marie Augustin Ferrier (1847 - 1914)
Ganymedes. ranskalainen Gustave Moreau (1826 - 1898)
No comments :
Post a Comment